학습 후 저장된 csv파일을 드라이브 올린 후 Windows로 돌아옵니다.
Windows에서 드라이브에 올려진 csv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.
다운로드한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트리 모양형태로 저장되어 있습니다.
여기서 먼저 맨 앞셀을 선택해 새로운 셀 하나를 추가합니다.
그런 다음 엑셀을 끝까지 내려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입력된 번호를 확인합니다.
다시 처음으로 올라와 1을 입력후 오른 쪽 상단바에 [채우기] -> [계열] 을 들어갑니다
저는 마지막 번호가 43187라 43187를 입력했습니다.
마지막 번호까지 잘 입력 됬는지 확인합니다.
이 데이터는 19행마다 에 전체 keypoint 값이 저장 되므로 19번째 행 마다 데이터를 추출해야 합니다.
엑셀을 맨 오른쪽에서 열 하나를 추가합니다.
다음 아래와 같은 함수를 입력합니다 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입니다.
이후 Ctrl +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고 데이터가 입력된 마지막까지 드래그를 하면 함수가 저장되고 나머지가 입력되어 있습니다.
이제는 나머지가 0인것만 추출하겠습니다.
맨 처음으로 올라가 오른쪽 상단바에 [정렬 및 필터] -> [필터]를 누르면
AN열에서 0만 선택 후 확인을 누릅니다.
그림처럼 필터링 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전체 셀을 복사 후
새로운 엑셀 파일을 열어 붙여넣기 합니다.
맨 위 행과 가장 숫자를 입력했던 왼쪽 열과, 함수를 입력했던 오른쪽 열을 삭제해 (총 3개 삭제) 최종적으로 keypoint 값만을 남겨둡니다.
작업이 끝난 후 csv파일로 저장합니다.
저장된 csv 파일은 공유 드라이브 Finalcsv파일에 올려주세요
'공대생 잡학사전 > A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v 파일을 이용해 MLP, RNN, LSTM 학습하기 (0) | 2022.12.11 |
---|---|
Linux(Ubuntu 20.04) 에 OpenPose를 이용해 영상 속 자세 추정하기 (0) | 2022.11.12 |
Google Colaboratory에서 OpenPose를 이용하여 영상 속 인물의 자세 추정하기 (0) | 2022.11.11 |